주요 메뉴 바로가기 (상단) 본문 컨텐츠 바로가기 주요 메뉴 바로가기 (하단)

“와, 이렇게 퍼준 거야?” 톨게이트 무료, 알고 봤더니 대환장 빚잔치 논란

김소희 에디터 조회수  

명절 통행료 면제,
연간 4천억 규모 

톨게이트-고속도로

3일 한국도로공사에 따르면 명절통행료 면제 등 연간 감면액이 지난해 4,259억 원으로 나타났다. 해마다 통행료 면제 정책을 이어오면서 누적 손실 금액이 눈덩이 처럼 불어나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따라 명절 통행료 면제에 대한 논란이 지속되고 있다. 

2022년 추석 연휴 동안 면제된 고속도로 통행료 금액은 694억 원으로 집계되었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48억 원 증가한 수치이다. 이와 함께 고속도로 이용 차량 수도 작년보다 5.8%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통행료 인상 분위기
명절은 무료?

톨게이트-고속도로

명절 통행료 면제는 버스 등 대중교통 이용자에게는 혜택을 주지 않는 형평성 문제가 논란이 되고 있다. 자가용 이용객에게만 혜택이 가고 있다. 이로 인해 도로공사가 면제 통행료의 전액을 부담하고 있어 재정 부담 문제도 제기되고 있다. 

한국 도로공사의 부채가 급증하고 부실 재정 우려가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통행료 인상의 필요성이 논의되고 있다.

명절 통행료 면제는 2017년 처음 도입되었다. 하지만 문제점이 점차 누적돼, 형평성 · 재정 부담 · 공기업 부실 등 다양한 논란을 빚고 있다. 

톨게이트-고속도로

한국도로공사는 고속도로 통행료 인상이 불가피하다고 주장했다. 함진규 한국도로공사 사장은 올해 들어 수차례 “내년엔 통행료를 현실화하겠다”고 강조했다. 우려했던 부분이 결국 발생한 것이다.

좋은 취지로 시작했지만, 정부에서 해당 금액에 대한 현실적 방안을 내놓지 않아 결국은 이용객의 금액 부담이 증가할 예정이 되었다.

고속도로 통행료 인상
정말 불가피할까?

톨게이트-고속도로

한국도로공사의 부채 규모는 계속 무서운 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 2018년 : 28조1000억 원 (부채 비율 : 80.8%)
▷ 2022년 : 35조8000억 원 (부채 비율 : 84.3%)

한국도로공사에 따르면 2027년 부채 규모는 49조 9000억 원으로 급증할 전망이다. 천문학적인 부채는 금리 상승과 맞물려, 현행 통행료 정책으로는 더이상 버티기 힘든 상황에 내몰렸다.

다만 통행료는 수익자 부담 원칙이더라도 필수재 성격을 띄고 있어, 공공요금으로 보는 시각이 많다. 즉, 운전자들이 가장 우려하는 민영화에 따른 수익을 내는 구조가 아니라는 의미다.

비슷한 예시로 한전이 막대한 부채를 안고 있어도 전기 요금을 마음대로 올리지 못하는 상황이 있다. 쉽게 말해, 통행료를 올리면 차량 운행에 대한 부담이 가중 돼 결국 물가 상승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이러한 이유로 “통행료 인상하겠습니다.”라는 이야기를 해도 곧바로 올리지 못한다.

톨게이트-고속도로

통행료 인상이 어려운 상황에서도 도로공사의 부실 재정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고민이 필요하다. 이를 위한 새로운 정책 변경이 나와야한다. 

취지는 좋다. 하지만 이렇게 될 경우 조삼모사이다. 결국 그 피해는 우리가 뒤집어쓰기 때문이다. 안 오르는 금액이 없다는 말은 매년 나오는 말이다. 할 수 있는 건 그 금액을 줄이는 것뿐이다. 진정으로 우리들의 지갑을 지켜주려면 기본적인 것의 가격 상승 방어가 필수다.

관련기사

author-img
김소희 에디터
content@capress.kr

댓글0

300

댓글0

[공감칼럼] 랭킹 뉴스

  • 톨게이트-미납요금-강제징수-운전자-고속도로-차상식
    "하, 빨리 낼걸" 운전자들, 괜히 넘기다 10배 패널티!
  • 르노-아르카나-하이브리드-소형-SUV
    "코나 취소해야지" 2천 후반 르노 하이브리드 SUV, 거봐 디자인이 문제였지?
  • 터널진입차단시설-터널-화재-교통사고-안전운전-고속도로
    "어? 단속카메라 아니야?" 운전자들 '이것' 보이면 무조건 멈추세요!!
  • 이동식-단속카메라-전광판-운전자-교통사고
    "운전자들 쫄았네" 교통 위반 84%감소, 단속 없이 진짜 가능했다
  • 현대-미국-파이크스-피크-힐-클라임-대회서-양산형-전기차-최고-기록-달성
    아이오닉 5 N, 미국에서 로키 산맥 달리고 양산형 전기차 부문 신기록 달성해
  • 서울시-지하철-냉방-에어컨-직장인
    "어쩐지 너무 덥더라" 아무도 몰랐던 지하철 냉방 위치, 직장인들 땀 범벅 오열!

당신을 위한 인기글

  • 아직 덜 찬 쓰레기봉투 냄새 ‘이것’ 덮어주면 효과 굿!
    아직 덜 찬 쓰레기봉투 냄새 ‘이것’ 덮어주면 효과 굿!
  • 한국에서 데뷔하려고 햄버거집 아르바이트 하던 일본 여고생
    한국에서 데뷔하려고 햄버거집 아르바이트 하던 일본 여고생
  • [인사이트] 대전환시대, 한국 자동차산업의 미래는 있는가? (1)
    [인사이트] 대전환시대, 한국 자동차산업의 미래는 있는가? (1)
  • 흔한 일본 여행이 지겹다면…보석 같은 日여행지 시코쿠
    흔한 일본 여행이 지겹다면…보석 같은 日여행지 시코쿠
  • 37년간 지구 150바퀴 비행한 기장의 마지막 당부 한마디
    37년간 지구 150바퀴 비행한 기장의 마지막 당부 한마디
  • 中, 크루즈 여행객 한정 무비자 입국 허용 발표…그 배경 살펴보니
    中, 크루즈 여행객 한정 무비자 입국 허용 발표…그 배경 살펴보니
  • 류승룡도 못알아보게 성숙한 ‘7번방 예승이’ 근황
    류승룡도 못알아보게 성숙한 ‘7번방 예승이’ 근황
  • 보름에 태어나서 이름이 보름이라는 배우
    보름에 태어나서 이름이 보름이라는 배우

당신을 위한 인기글

  • 아직 덜 찬 쓰레기봉투 냄새 ‘이것’ 덮어주면 효과 굿!
    아직 덜 찬 쓰레기봉투 냄새 ‘이것’ 덮어주면 효과 굿!
  • 한국에서 데뷔하려고 햄버거집 아르바이트 하던 일본 여고생
    한국에서 데뷔하려고 햄버거집 아르바이트 하던 일본 여고생
  • [인사이트] 대전환시대, 한국 자동차산업의 미래는 있는가? (1)
    [인사이트] 대전환시대, 한국 자동차산업의 미래는 있는가? (1)
  • 흔한 일본 여행이 지겹다면…보석 같은 日여행지 시코쿠
    흔한 일본 여행이 지겹다면…보석 같은 日여행지 시코쿠
  • 37년간 지구 150바퀴 비행한 기장의 마지막 당부 한마디
    37년간 지구 150바퀴 비행한 기장의 마지막 당부 한마디
  • 中, 크루즈 여행객 한정 무비자 입국 허용 발표…그 배경 살펴보니
    中, 크루즈 여행객 한정 무비자 입국 허용 발표…그 배경 살펴보니
  • 류승룡도 못알아보게 성숙한 ‘7번방 예승이’ 근황
    류승룡도 못알아보게 성숙한 ‘7번방 예승이’ 근황
  • 보름에 태어나서 이름이 보름이라는 배우
    보름에 태어나서 이름이 보름이라는 배우

추천 뉴스

  • 1
    출시 전부터 주목받는 제네시스의 럭셔리 SUV, "GV90" 예상 가격과 출시일은??

    핫클릭 

    제네시스-GV90-네오룬-콘셉트카
  • 2
    잘못 갔다가는 범칙금 행!! ‘고속도로 갓길’ 올바른 사용법은??

    쉬운뉴스 

    고속도로-갓길-졸음쉼터
  • 3
    “이래도 가입 안 해?” 배달업 종사자 위한 최저가 공제보험 출시, 보험료 부담 줄인다!

    쉬운뉴스 

    이륜차-배달업종사자-전용보험-라이더-배달
  • 4
    “또 끼었네” 서울시, 도로 사고 방지 위해 AI 시스템까지 도입!! 

    쉬운뉴스 

    소형차-전용도로-여의지하
  • 5
    "내가 호구였구나" 운전자 46%, '이 차' 괜히 샀다 후회

    핫클릭 

    전기차-내연기관차-신차

지금 뜨는 뉴스

  • 1
    "와, 1억 7천?" GV60 마그마, BMW M 레벨 예고

    핫클릭 

  • 2
    "당장 차 키 숨기세요!!" 음주운전 안 했는데 1억 5천, 차주 대환장!

    핫클릭 

  • 3
    "얼마나 무시했으면" 정부, 휴게소 온 화물차 싹 다 훑어본다

    쉬운뉴스 

  • 4
    "에어컨 없이 냉방?" 현대차, 필름 발랐더니 불지옥 해결

    핫클릭 

  • 5
    "이러면 람보르기니 취소하지" 12년만에 부활, 제로백 2초 국산 슈퍼카 나온다

    쉬운뉴스 

공유하기

0

adsupport@fastviewkore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