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메뉴 바로가기 (상단) 본문 컨텐츠 바로가기 주요 메뉴 바로가기 (하단)

“진짜 많이 팔렸네” 아빠들, 비싸도 무조건 산다는 ‘이 차’의 정체

최동준 에디터 조회수  

① 하이브리드 신차, 디젤 추월

하이브리드

지난달, 하이브리드 신차 판매량이 디젤을 처음으로 앞질렀다. 카이즈유데이터연구소 자료에 따르면 5월 신차 등록대수는 149,541대로 나타났다. 이 중 하이브리드는 27,863대, 디젤은 26,898대로 하이브리드 신차가 965대 가량 더 팔렸다.

하이브리드

차 마다 다르지만, 하이브리드 모델은 보통 내연기관 엔진을 사용하는 모델 중 가장 비싸다. 싼타페를 예로들면, 디젤은 가솔린보다 200만원 가량 비싸며 하이브리드는 300만원 가까이 차이를 보인다. 심지어 그랜저는 하이브리드 모델의 가격이 가솔린보다 500만원 가량 비싸다. 비싼이유는 간단하다. 하이브리드 전용 엔진과 변속기, 모터와 배터리 시스템 까지 사실상 두 가지 파워트레인이 적용됐기 때문이다.

② 14년 동안 하이브리드 급증

하이브리드

하이브리드는 2009년 최초의 모델 ‘아반떼 LPI 하이브리드’ 출시 이후, 꾸준한 판매량을 기록했다. 2016년에는 62,000대 수준이었으나, 작년 말에는  211,000대로 급증했다. 이에 따라 차량 등록 비율 역시 증가 했는데, 2016년 3.4%에서 2022년에는 12.5%로 4배 정도 증가했다. 반면 디젤차는 2016년 872,000대나 팔렸지만 작년 말 기준 351,000대로 급감했다.

하이브리드

하이브리드는 디젤의 장점 외에도 내연기관차와 전기차의 특징을 골고루 갖고 있어, 소비자들의 선택이 이어진 것이다. 하지만 일반 내연기관차 보다 3~5백만원 비싼 점은 소비자 입장에서 부담스러울 수 밖에 없다. 그런데도 하이브리드를 구매한 이유는 무엇일까?

③ 하이브리드 신차, 살 수밖에 없는 이유

하이브리드

하이브리드는 마일드 하이브리드, 풀 하이브리드,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세 가지로 나뉜다. 국산차는 대부분 풀 하이브리드에 속하는데, 저속에서는 전기모터로 주행하며 가속 시 전기모터가 엔진을 보조한다. 또, 고속에서는 엔진이 주로 사용되는 등 상황에 알맞게 모터와 엔진이 가동된다. 이 과정에서 전기모터에 의해 엔진에 걸리는 부하가 줄어드는데 이로 인해 연비가 높아진다. 일부 모델은 리터당 20km에 달하는 연비를 자랑할 정도다.

하이브리드

한편 저속주행이 많은 도심지에서 낮은 RPM으로 도는 엔진의 소음을 상당부분 해결할 수 있다. 즉, 정숙성이 우수하다는 의미로, 패밀리카를 선호하는 소비자들에게 특히 강점으로 다가온다. 그밖에 유럽 수입차는 약간의 동력을 제공하는 마일드 하이브리드 형태와 배터리와 모터 성능을 높인 플러그인 하이브리드가 많다. 그리고 일본은 풀 하이브리드에 특화되어 있다.

수입차 역시 앞서 언급한 장점을 가지고 있어 소비자들 입장에선 거부할 이유가 없는 것이다. 또한 전기차 화재의 불안감으로 망설이는 소비자에게 좋은 대안이 되고 있다.

④ 곧 전기차 시대, 하이브리드 단종될까?

하이브리드

2030년~2035년쯤 내연기관차는 완전히 단종된다. 판매를 할 수 없도록 주요 국가에서 제동을 건 것인데, 지구 대기오염과 온난화로 기상이변 등 심각한 재난이 발생해 비상이 걸렸기 때문이다. 이 때 까지 대략 10년 정도 남았는데 이후에도 하이브리드는 사라지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 그동안 순수 전기차, 수소전기차와 같은 친환경 차량에만 초점이 맞춰졌다. 하지만 보다 높은 수준의 친환경차 개발이 지연되면서 무작정 때가 됐다고 바꿀 수 없게 됐다.

하이브리드

특히 기존 제조사들과 부품업체들의 타격을 최소화 한다는 명분이 생겼다. 유럽은 내연기관차 퇴출에 미온적인 태도를 취하고 있다. 바이오 연료를 사용하거나 이산화탄소 등을 포집해 다시 연료로 재생산하는 방안에 집중하고 있기 때문이다. 해당 정책이 보편화 되면, 바이오 연료를 사용하는 내연기관차(하이브리드 포함), 전기차, 수소전기차가 공존하는 형태가 된다. 이 경우 배출가스 저감 효과가 다소 낮아지지만 업계에 가해지는 타격을 줄일 수 있다.

이런 이유로 하이브리드 모델은 지속적으로 판매될 것이다. 만약 하이브리드차를 구매하고 싶은데 나중에 단종 돼서 유지보수 마저 어려울까봐 걱정이었던 소비자라면, 그런 걱정없이 구매해도 괜찮다는 말을 전하고 싶다.

최동준 에디터
capress_partner@capress.kr

댓글7

300

댓글7

  • 죄다 욕

  • 소다향

    니들이 현대-기아 차를 안사면 내가 장을 지진다. 너들읏 평생 현대기아빠들이야~~ 노조원들 임금좀 올리자

  • 기름비 아끼니깐 하브사는 건 이해된다. 난 2024.k8 풀체인지 나오면 하브로 산다. 내가 승리자...gn7그랜저는 봐도 봐도 못생겼다. 하자도 많아서 굳이 산다면 최소 2년뒤 사야쥐....k8 이 여전히 그런 모습이면 말야...그랜저가 k8보다 주행시 많이 딱딱하거든

  • 디올뉴그랜져 LPi 출고3개윌된는대 엔진오일 교체하고 3,000k주행했는대 5\ 1먹어요. 확인들하세요.

  • 디올뉴그랜져 LPi 출고3개윌된는대 엔진오일 교체하고 3,000k주행했는대 5\ 1먹어요.

[공감칼럼] 랭킹 뉴스

  • 임시-공짜-스티커-경찰
    “참다못한 경찰” 운전자 '일부'에게 공짜로 준다
  • 카니발-하이브리드-가솔린
    "아빠들 카니발 고민" 하이브리드 살까, 가솔린 살까?
  • "현대차 가격 확 내리나?" 토레스에 들어갔던 '이것', 직접 만든다 확정
  • 사망-사고-무단횡단-메인
    “1억 8천? 더 내놔” 16년 무사고 운전자, '이것'으로 잃게 될 금액은?
  • 자동차-사고-보험사-꿀팁
    “어쩐지 이상하더라” 보험사에 전화 안 했다가 운전자 오열
  • 블랙아이스-살얼음-교통사고-운전자
    "보상 왜 해줌?" 요즘 이렇게 운전하죠? 무조건 손해 봅니다

당신을 위한 인기글

  • 역주행 음주운전 저지른 ‘조선족’.. 최악의 사고 유발에 네티즌 폭발
  • ‘중국산 그 차?’ 하트시그널 2 오영주, 5년 만에 뽑은 새 차 깜짝 정체
  • ‘디젤 차주들 난리 난 상황’ 요소수 대란 조짐, 정부의 충격 대응은..
  • ‘결혼 5년 만에 파경’ 최민환 – 율희, 애들 위해 샀던 자동차 정체는?
  • 길 가던 보행자 ‘그냥’ 들이 받은 포르쉐.. 알고 봤더니 이런 이유가?
  • 대국민 사기 실화..? 역대급 ‘허위 광고’ 들통난 제네시스 충격 근황
  • 보기만 해도 소름 돋는 ‘미친 경사’ 도로.. 그 충격 실체에 일동 경악
  • 아파트보다 비싸.. 배우 류시원이 공개한 BMW ‘희귀 클래식카’ 정체
  • 셀토스 하이브리드 출시 확정, 사회 초년생들 바로 계약하겠다 난리
  • 결국 ‘이 모델’ 예고한 테슬라.. 아빠들 주식 당장 사겠다고 난리났죠
  • 공간 활용이 미쳤다는 토요타 신차.. 애 키우는 엄마들 눈 돌아갔죠
  • 이러다 우리 망한다.. 결국 ‘이것’ 준비 시작해버린 맥라렌 충격 근황

함께 보면 좋은 뉴스

  • 1
    “보조금 수준, 눈물의 할인” 현대차 300이상 추가 할인 신차 주목!

    쉬운뉴스 

    현대-기아-할인-메인
  • 2
    “강남 싼타페 N” 2억 중반 아빠들 드림카, 디자인·스펙 역대급

    쉬운뉴스 

    레인지로버-스포츠-SUV
  • 3
    "내년부터!" 제네시스가 내놓은 역대급 '이 차', 운전 가능한데 다만?

    핫클릭 

    제네시스 콘셉트 엑스그란베를리네타콘셉트 게임 그란투르스모7 레이싱카
  • 4
    "하다 하다 이젠 통째로" 이건 좀 선 넘었다 싶은 중국산 '이 차' 정체

    쉬운뉴스 

    전기차 신차 하이퍼HT 테슬라 모델X
  • 5
    “들어오면 업계 싹쓸이” 1000km가는 벤츠 화물차, 당장 산다 난리!

    핫클릭 

[공감칼럼] 인기 뉴스

  • 임시-공짜-스티커-경찰
    “참다못한 경찰” 운전자 '일부'에게 공짜로 준다
  • 카니발-하이브리드-가솔린
    "아빠들 카니발 고민" 하이브리드 살까, 가솔린 살까?
  • "현대차 가격 확 내리나?" 토레스에 들어갔던 '이것', 직접 만든다 확정
  • 사망-사고-무단횡단-메인
    “1억 8천? 더 내놔” 16년 무사고 운전자, '이것'으로 잃게 될 금액은?
  • 자동차-사고-보험사-꿀팁
    “어쩐지 이상하더라” 보험사에 전화 안 했다가 운전자 오열
  • 블랙아이스-살얼음-교통사고-운전자
    "보상 왜 해줌?" 요즘 이렇게 운전하죠? 무조건 손해 봅니다

지금 뜨는 뉴스

  • 1
    "2백 만큼 가성비" 티볼리·셀토스 깡통, 스펙 때문에 오히려 고민

    핫클릭 

  • 2
    "모델 Y 가성비 버전" 그랜저 값, 싼타페 급 SUV의 정체

    핫클릭 

  • 3
    "기름값 폭등하나?" 운전자들 오열할 알뜰 주유소의 비밀

    핫클릭 

  • 4
    “1억3천?” 말 달라진 테슬라의 사이버트럭 가격, 이것도 싯가가 될까?

    핫클릭 

  • 5
    “2억 후반" 마세라티 '이 차', 성능 뿐만 아니라 디자인까지 괜찮네?

    쉬운뉴스 

[공감칼럼] 추천 뉴스

  • 정비-판금-수리-정비소-정비사-보험사
    “23,000원 때문에 썩어가네” 사고차 맡기셨죠? 무조건 물어보세요
  • 중고차-사기-현대차
    "2천 날렸어요" 이러니 현대차 비싸도 계약한다고 난리지
  • 졸음-운전-사고-메인
    "이건 S클래스도 안 돼" 결국 운전자 사망할 수 밖에 없는 '이 상황'
  • 테슬라-구독-경제-메인
    "이래서 전기차가 문제" 신차 뽑았더니 돈 더 뜯어가는 테슬라
  • 제네시스-차량-g90-메인
    "마이바흐 급 제네시스" 6억짜리 G90, 길 가다 보면 무조건 로또 사세요
  • 고속도로-출퇴근-톨게이트-통행료-민자
    “수십만 원 더 뜯어가네” 운전자들 똑같이 출퇴근, 왜 나만 손해냐 오열!

당신을 위한 인기글

  • 역주행 음주운전 저지른 ‘조선족’.. 최악의 사고 유발에 네티즌 폭발
  • ‘중국산 그 차?’ 하트시그널 2 오영주, 5년 만에 뽑은 새 차 깜짝 정체
  • ‘디젤 차주들 난리 난 상황’ 요소수 대란 조짐, 정부의 충격 대응은..
  • ‘결혼 5년 만에 파경’ 최민환 – 율희, 애들 위해 샀던 자동차 정체는?
  • 길 가던 보행자 ‘그냥’ 들이 받은 포르쉐.. 알고 봤더니 이런 이유가?
  • 대국민 사기 실화..? 역대급 ‘허위 광고’ 들통난 제네시스 충격 근황
  • 보기만 해도 소름 돋는 ‘미친 경사’ 도로.. 그 충격 실체에 일동 경악
  • 아파트보다 비싸.. 배우 류시원이 공개한 BMW ‘희귀 클래식카’ 정체
  • 셀토스 하이브리드 출시 확정, 사회 초년생들 바로 계약하겠다 난리
  • 결국 ‘이 모델’ 예고한 테슬라.. 아빠들 주식 당장 사겠다고 난리났죠
  • 공간 활용이 미쳤다는 토요타 신차.. 애 키우는 엄마들 눈 돌아갔죠
  • 이러다 우리 망한다.. 결국 ‘이것’ 준비 시작해버린 맥라렌 충격 근황

추천 뉴스

  • 1
    “보조금 수준, 눈물의 할인” 현대차 300이상 추가 할인 신차 주목!

    쉬운뉴스 

    현대-기아-할인-메인
  • 2
    “강남 싼타페 N” 2억 중반 아빠들 드림카, 디자인·스펙 역대급

    쉬운뉴스 

    레인지로버-스포츠-SUV
  • 3
    "내년부터!" 제네시스가 내놓은 역대급 '이 차', 운전 가능한데 다만?

    핫클릭 

    제네시스 콘셉트 엑스그란베를리네타콘셉트 게임 그란투르스모7 레이싱카
  • 4
    "하다 하다 이젠 통째로" 이건 좀 선 넘었다 싶은 중국산 '이 차' 정체

    쉬운뉴스 

    전기차 신차 하이퍼HT 테슬라 모델X
  • 5
    “들어오면 업계 싹쓸이” 1000km가는 벤츠 화물차, 당장 산다 난리!

    핫클릭 

지금 뜨는 뉴스

  • 1
    "2백 만큼 가성비" 티볼리·셀토스 깡통, 스펙 때문에 오히려 고민

    핫클릭 

  • 2
    "모델 Y 가성비 버전" 그랜저 값, 싼타페 급 SUV의 정체

    핫클릭 

  • 3
    "기름값 폭등하나?" 운전자들 오열할 알뜰 주유소의 비밀

    핫클릭 

  • 4
    “1억3천?” 말 달라진 테슬라의 사이버트럭 가격, 이것도 싯가가 될까?

    핫클릭 

  • 5
    “2억 후반" 마세라티 '이 차', 성능 뿐만 아니라 디자인까지 괜찮네?

    쉬운뉴스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