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 노사간 합의점 못찾아,
결국 파업 수순 밟나?
현대차 노조는 노사 간 협력을 강화하고, 고용 문제와 노동자들의 권리 보호를 위해 노력하는 단체이다. 지난 6월 13일 올해 교섭 상견례를 가진 이후 17차례에 걸쳐 교섭을 이어왔으나 이견을 좁히지 못해 파업을 진행할 수 있을 정도로 진행되었다.
코로나19 이전에도 매년 있어왔던 노조와 본사의 교섭은 코로나 기간 동안 서로의 상황을 이해하며 별다른 분쟁 없이 지나갔다. 엔데믹 이후, 노조는 본사 측에 올해 기본급 18만 4900원(호봉승급분 제외)인상, 전년도 순이익 30%(주식 포함)를 성과급 지급, 상여금 900% 등을 요구했다.
또, 별도 요구안에는 정년 연장, 전기차 신공장 관련 인력 운영 방안 마련, 기존 파워 크레인 고용 변화 대응 등 고용 안정 요구안 등을 포함했다.
특히 국민연금 수령 직전인 만 64세까지 정년을 연장하는 내용이 교섭 결렬의 주요인 것으로 전해졌다. 본사 측에서 이러한 요구를 받아들이지 않아 현대차 노조가 실제 파업에 돌입하면 임단협과 관련해선 5년 만에 파업한다.
신차 출고 스케쥴
이러다 또 늦어질까 불안
현재까지는 그래도 서로의 입장을 이해할 수 있었지만 올해는 양측 입장 차가 너무 커서 무분규 타결은 물 건너 간 것 아니냐는 우려가 들린다.
노조가 실제로 파업을 하면 하반기 출시를 앞둔 신차 생산 및 전체 공장이 가동 중단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하지만 강성 집행부 역시 투쟁 수위가 만만치 않아 최종 타결까지 쉽지 않다는 전망이 지배적이다.
정규직 반년간 2,500명 감소
노조의 발언권도 약화
현대차는 2023년 2분기 영업이익이 4조 원을 돌파했다. 하지만 아이러니하게도 정규직 직원 수가 반년 새 2500여 명이 급감했다. 2020년만 해도 현대차⬝기아의 정규직 수는 10만 1906명으로 10만 명을 웃돌았다. 하지만 현재는 올해 6월 말 기준, 9만 6539명을 기록했다. 영업이익은 고공행진이지만, 조직 규모는 빠르게 축소되고 있는 상황이다.
기존에는 내연기관차 위주였던 기업이 전기차로의 대응을 위해서 불가피했던 선택이었을까? 한국자동차연구원 분석에 따르면 전기차 1만 대를 만들 때 투입되는 생산 인력은 내연기관차의 38% 수준이다. 그렇기에 현대차⬝기아가 100% 전기차 전환이 완료되면 지금 보다 생산 인력을 절반 이상 감축해야 한다는 뜻이기도 하다.
이미 해외 글로벌 제조사들은 전기차 전환을 위해 대대적인 구조조정을 단행했다. 하지만 현대차⬝기아는 인위적인 구조조정은 하지 않고, 대안으로 생산직 정년퇴직자를 충원하지 않는 자연 감소 형태로 인력 구조를 재편하고 있다. 대신 미래차 핵심 분야인 소프트웨어 부분의 신규 채용을 대폭 늘렸다.
지난해 현대차의 정년퇴직자는 2000명, 기아는 1000여 명에 달했는데, 이러한 수치는 앞으로 몇 년간 지속될 전망으로 보인다. 또, 젊은 직원들의 이직률도 영향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댓글1
방배동기레기
요번에 노조도 회사도 쎄게 붙어서 향후 20년을 좌우한다. 직장폐쇄까지 염두해둬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