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650개소 시작으로 2030년까지 4,000개소 설치 목표
시민 만족도 98.4% 기록, 보행 안전성과 편의성 향상
무단횡단 예방 및 신호 준수율 증가 효과 기대
적색 잔여시간 표시 신호등 도입
![서울시-도로-신호등-적색신호등-횡단보도-보행자-운전자-상식-1](https://cdn.capress.kr/capress/2025/02/11095806/%EC%84%9C%EC%9A%B8%EC%8B%9C-%EB%8F%84%EB%A1%9C-%EC%8B%A0%ED%98%B8%EB%93%B1-%EC%A0%81%EC%83%89%EC%8B%A0%ED%98%B8%EB%93%B1-%ED%9A%A1%EB%8B%A8%EB%B3%B4%EB%8F%84-%EB%B3%B4%ED%96%89%EC%9E%90-%EC%9A%B4%EC%A0%84%EC%9E%90-%EC%83%81%EC%8B%9D-1.jpg)
서울시가 보행자 안전을 강화하고 무단횡단을 예방하기 위해 ‘적색 잔여시간 표시 신호등’을 대폭 확대한다. 지난해 명동과 강남 등 보행자 유동이 많은 지역 350개소에 시범 설치된 해당 신호등은 시민들의 높은 만족도를 얻으며 긍정적인 효과를 입증했다. 이에 따라 올해부터 연간 600여 개소씩 추가 설치하여 2030년까지 총 4,000개소로 확대할 계획이다.
적색 잔여시간 표시 신호등은 녹색 보행신호뿐만 아니라 적색 대기신호의 남은 시간을 보행자에게 알려주는 시스템이다. 이를 통해 보행자는 신호 변경을 미리 예측할 수 있으며, 신호 준수율을 높이고 무단횡단을 줄이는 데 기여한다.
한국도로교통공단이 2020년 6월 발표한 연구에 따르면, 적색 잔여시간 표시 신호등 도입 시 신호 주기당 적색 신호 횡단자가 46% 감소했고, 보행자 만족도는 72%에 달했다. 또한, 신호등을 주시하는 보행자가 9.4% 증가하는 등 신호 준수율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시는 이러한 효과를 바탕으로 우선 6차로 이상 횡단보도에 해당 신호등을 집중적으로 확대할 방침이다. 또한, 6차로와 연결된 4차로 이상 도로 중 무단횡단 사고가 잦은 지역에도 추가 설치할 예정이다.
시민 만족도 조사 결과, 98.4% 긍정적 평가
서울시는 지난해 11월 보행량이 많은 300여 개소에 적색 잔여시간 표시 신호등을 설치한 후 500명을 대상으로 시민 만족도 조사를 진행했다. 조사 결과, 응답자의 98.4%가 해당 신호등에 만족한다고 답했으며, 98.2%가 확대 설치의 필요성에 공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60대 이상 응답자들의 긍정 응답률이 97%에 달하며, 고령자 등 교통 약자의 보행 안전을 높이는 데 효과적인 것으로 평가됐다. ‘무단횡단 감소’, ‘보행 신호등 집중도 향상’, ‘신호 준수율 증가’ 등의 항목에서도 높은 긍정 반응이 확인됐다.
적색 잔여시간 표시 신호등 설치 및 운영 방식
서울시는 자치구 수요조사 및 서울경찰청과의 협의를 거쳐 신호등을 지속적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올해부터 매년 600여 개소씩 설치해 2030년까지 4,000개소를 목표로 하고 있다.
한편, 적색 잔여시간 표시 신호등은 보행자가 신호 변경을 예측할 수 있도록 돕는 한편, 보행신호가 들어오기 전에 조기 출발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적색 대기신호 종료 6초 이하 시에는 남은 시간이 표시되지 않는 방식으로 운영된다.
서울시측은 “적색 잔여시간 표시 신호등 확대는 보행자 안전과 편의를 높이는 대표적인 생활밀착형 정책”이라며, “시민 모두가 안전하고 효율적인 교통 환경을 누릴 수 있도록 다양한 아이디어를 반영한 교통정책을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서울시는 이번 신호등 확대뿐만 아니라, 보행 환경 개선을 위한 다양한 정책을 마련하여 보행자의 안전성을 더욱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
댓글0